728x90
주식을 시작하면 가장 고민되는 게
언제 팔아야 하지? 하는 생각일거야
가격이 오르면 더 오를 것 같고,
떨어지면 반등할 것 같아서 망설이게 되지.
하지만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건 매도 전략을 잘 세우는 거야.
오늘은 주식 초보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
손절(Stop Loss)과 익절(Take Profit)에 대해 알아보자!
1. 손절과 익절이란?
✔ 손절(Stop Loss)
-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식을 일정 가격 이하에서 매도하는 것
- 예를 들어 10,000원에 산 주식이 9,000원이 되면 손실 10% → 미리 정한 손절가에 도달하면 매도
✔ 익절(Take Profit)
- 수익을 확정 짓기 위해 일정 수익률이 났을 때 매도하는 것
- 예를 들어 10,000원에 산 주식이 12,000원이 되면 20% 수익 → 목표 수익률 도달 시 매도
2. 왜 손절과 익절이 중요할까?
📌 1) 감정적 투자를 막아줌
- "더 오를 것 같아서 안 팔았는데 결국 하락…"
- "반등할 것 같아서 버텼는데 더 떨어짐…"
→ 미리 정해둔 손절·익절 라인을 지키면 이런 실수를 줄일 수 있어.
📌 2) 자본을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함
- 잃지 않는 투자가 핵심!
- -50% 손실이면 회복하려면 +100% 상승해야 함!
(10만 원 → 5만 원 되면, 다시 10만 원으로 가려면 +100% 상승 필요) - 큰 손실을 보기 전에 손절로 자본을 보호하는 게 필수
📌 3) 확실한 수익을 챙길 수 있음
- "조금만 더 오르면 팔아야지!" 하다가 결국 떨어지는 경우 많음
- 목표 수익률 도달 시 익절을 해야 실제로 돈을 벌 수 있음
3. 손절과 익절, 언제 해야 할까?
📌 1) 손절 기준 설정 방법
- 고정 비율 손절: "내 원칙은 -5% 손실이면 손절!"
- 기술적 분석 손절: "지지선이 깨지면 손절!"
- 시간 손절: "예상했던 상승이 3개월 동안 안 나오면 손절!"
✔ 예시:
10,000원에 산 주식이 9,500원(-5%)이 되면 손절
📍 손실을 5%로 제한해서 큰 손해를 막을 수 있음
📌 2) 익절 기준 설정 방법
- 고정 수익률 익절: "10% 수익이 나면 익절!"
- 트레일링 스톱(계단식 익절): "20% 수익 후 5% 하락하면 익절!"
- 목표 가격 익절: "이 주식 목표가는 15,000원이니까 도달하면 익절!"
✔ 예시:
10,000원에 산 주식이 12,000원이 되면 익절! (+20%)
📍 확실한 수익을 챙길 수 있음
4. 초보자를 위한 실전 매도 전략
✔ 1) 손절과 익절 비율 정하기
- 초보자는 손절 -5%, 익절 +10% 전략 추천
- 손실보다 수익을 크게 가져가야 최종적으로 이익이 남음
✔ 2) 감정 개입하지 않기
- "혹시 더 오를까?"라는 욕심 버리기
- "혹시 반등할까?"라는 기대 버리기
- 미리 정한 매도 원칙을 지키는 게 중요!
✔ 3) 실전 연습하기
- 모의투자 또는 적은 금액으로 손절·익절 연습
- 여러 번 경험하면서 자신만의 매도 원칙 만들기
🔥 결론
주식 투자에서 언제 팔아야 하는지 모르면 결국 손해를 보게 돼.
손절과 익절 원칙을 정하고 지키는 것이 승리의 핵심!
항상 본인만의 기준을 가지고 주식을 매수/매도 하는게 가장 중요한것 같아
뭐니뭐니 해도 우리돈은 개인의 것이고
잃게된다면 그 책임은 자기자신한테 있는거니까
728x90
'주식 모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동평균선(MA) 완벽 정리! 📈 (0) | 2025.03.07 |
---|---|
주식 초보를 위한 캔들차트 완벽 정리! 📊 (0) | 2025.03.06 |
퇴직연금(IRP)과 ISA 계좌의 절세 혜택 변경 – 무엇이 달라졌을까? (2) | 2025.02.06 |
⏰ 한국 주식거래 시간이 12시간으로? "넥스트레이드" 도입 알아보자! (0) | 2025.02.06 |
주린이를 위한 세 번째 이야기 – 좋은 주식은 어떻게 고를까? (2) | 2025.02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