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주식 모험

주식 초보를 위한 필수 개념: 손절과 익절, 언제 해야 할까?

by 재테크하는 회사원 일기 2025. 2. 13.
728x90

주식을 시작하면 가장 고민되는 게

 

언제 팔아야 하지? 하는 생각일거야

 

가격이 오르면 더 오를 것 같고,

떨어지면 반등할 것 같아서 망설이게 되지.


하지만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건 매도 전략을 잘 세우는 거야.

 

오늘은 주식 초보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

손절(Stop Loss)과 익절(Take Profit)에 대해 알아보자!


1. 손절과 익절이란?

손절(Stop Loss)

  •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식을 일정 가격 이하에서 매도하는 것
  • 예를 들어 10,000원에 산 주식이 9,000원이 되면 손실 10% → 미리 정한 손절가에 도달하면 매도

익절(Take Profit)

  • 수익을 확정 짓기 위해 일정 수익률이 났을 때 매도하는 것
  • 예를 들어 10,000원에 산 주식이 12,000원이 되면 20% 수익 → 목표 수익률 도달 시 매도

2. 왜 손절과 익절이 중요할까?

📌 1) 감정적 투자를 막아줌

  • "더 오를 것 같아서 안 팔았는데 결국 하락…"
  • "반등할 것 같아서 버텼는데 더 떨어짐…"
    → 미리 정해둔 손절·익절 라인을 지키면 이런 실수를 줄일 수 있어.

📌 2) 자본을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함

  • 잃지 않는 투자가 핵심!
  • -50% 손실이면 회복하려면 +100% 상승해야 함!
    (10만 원 → 5만 원 되면, 다시 10만 원으로 가려면 +100% 상승 필요)
  • 큰 손실을 보기 전에 손절로 자본을 보호하는 게 필수

📌 3) 확실한 수익을 챙길 수 있음

  • "조금만 더 오르면 팔아야지!" 하다가 결국 떨어지는 경우 많음
  • 목표 수익률 도달 시 익절을 해야 실제로 돈을 벌 수 있음

3. 손절과 익절, 언제 해야 할까?

📌 1) 손절 기준 설정 방법

  • 고정 비율 손절: "내 원칙은 -5% 손실이면 손절!"
  • 기술적 분석 손절: "지지선이 깨지면 손절!"
  • 시간 손절: "예상했던 상승이 3개월 동안 안 나오면 손절!"

예시:
10,000원에 산 주식이 9,500원(-5%)이 되면 손절
📍 손실을 5%로 제한해서 큰 손해를 막을 수 있음

 

📌 2) 익절 기준 설정 방법

  • 고정 수익률 익절: "10% 수익이 나면 익절!"
  • 트레일링 스톱(계단식 익절): "20% 수익 후 5% 하락하면 익절!"
  • 목표 가격 익절: "이 주식 목표가는 15,000원이니까 도달하면 익절!"

예시:
10,000원에 산 주식이 12,000원이 되면 익절! (+20%)
📍 확실한 수익을 챙길 수 있음


4. 초보자를 위한 실전 매도 전략

1) 손절과 익절 비율 정하기

  • 초보자는 손절 -5%, 익절 +10% 전략 추천
  • 손실보다 수익을 크게 가져가야 최종적으로 이익이 남음

2) 감정 개입하지 않기

  • "혹시 더 오를까?"라는 욕심 버리기
  • "혹시 반등할까?"라는 기대 버리기
  • 미리 정한 매도 원칙을 지키는 게 중요!

3) 실전 연습하기

  • 모의투자 또는 적은 금액으로 손절·익절 연습
  • 여러 번 경험하면서 자신만의 매도 원칙 만들기

🔥 결론

주식 투자에서 언제 팔아야 하는지 모르면 결국 손해를 보게 돼.


손절과 익절 원칙을 정하고 지키는 것이 승리의 핵심!

 

항상 본인만의 기준을 가지고 주식을 매수/매도 하는게 가장 중요한것 같아

 

뭐니뭐니 해도 우리돈은 개인의 것이고 

 

잃게된다면 그 책임은 자기자신한테 있는거니까

728x90